일단 한마디로 소감을 말하자면, 엄청 느리고 그래서 VMWare에 설치하는 게 훨신 낫습니다.
PS. 참고로 제가 뭘 잘못한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부팅해도 되시는 분들도 있다고 합니다. 위 방법은 그냥 부팅했을 때 안되시는 분들은 저렇게 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PS. VMWare7에 설치하실 분들은 여기를 참고~ http://mudchobo.tomeii.com/tt/468
VMWare는 가상화 기술을 지원해선 하는 것 같은데, 이건 그냥 소프트웨어적으로 돌리는 것 같은 느낌으로 엄청 느립니다. 그냥 켰다가 껐습니다-_- 뭐 인터넷 정도만 할만한 것 보니, 맥에서 웹사이트 브라우저 테스트 정도는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_-
이번 3.2.X버전부터 지원을 한거라 아직 안정화단계는 아닌 것 같습니다. VirtualBox는 버전이 엄청나게 빠르게 업뎃을 해서 곧 안정화하리라 믿습니다^^
아~ 게다가 예전에는 Sun VirtualBox였는데, Oracle VirtualBox로 변경되었네요.
아~ 게다가 예전에는 Sun VirtualBox였는데, Oracle VirtualBox로 변경되었네요.
게다가 설치할 때 엄청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osx 이미지를 일단 구해야하는데, 3가지 종류를 구했는데, 다 부팅이 안되는 겁니다-_-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empireEFIv1085.iso를 구해서 부팅한 뒤 설치할 수 있다고 하네요.
가상머신을 만듭니다.
그러면 공식적으로 Mac OS X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베타때에는 Server가 안붙었는데, 뭔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붙인 것 같습니다-_-
만들었으면 설정을 해줘야합니다.
시스템에서 EFI체크해제하고, 저장소에서는 두번째 것에 empireEFIv1085.iso파일을 삽입합니다.
그리고 부팅을 하게되면 몬가 부팅이 되는데요. 거기서 다시 맥 설치 이미지로 변경해주어야합니다.
그런다음에 설치안내에 따라서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empireEFIv1085.iso로 부팅해서 설치한 것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만들었으면 설정을 해줘야합니다.
시스템에서 EFI체크해제하고, 저장소에서는 두번째 것에 empireEFIv1085.iso파일을 삽입합니다.
그리고 부팅을 하게되면 몬가 부팅이 되는데요. 거기서 다시 맥 설치 이미지로 변경해주어야합니다.
그런다음에 설치안내에 따라서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empireEFIv1085.iso로 부팅해서 설치한 것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PS. 참고로 제가 뭘 잘못한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부팅해도 되시는 분들도 있다고 합니다. 위 방법은 그냥 부팅했을 때 안되시는 분들은 저렇게 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PS. VMWare7에 설치하실 분들은 여기를 참고~ http://mudchobo.tomeii.com/tt/468
참고사이트 : http://pakcw.cafe24.com/1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