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기본적으로 솔라리스10에는 MySQL이 설치가 되어있더군요-_-;
몰랐습니다. 걍 지우고 다시 깔아봅시다. 원래 삽질을 좋아해서-_-;

pkgrm으로 mysql 지워버립시다-_-;(이래도 되나-_-;)

다시 깔아봅시다.
http://dev.mysql.com/downloads/ 이곳에서 MySQL 솔라리스 pkg용으로 받습니다.
Solaris (pkgadd packages) 이눔인 것 같습니다.

우선 mysql계정을 만들어야 돼요.
[root][/] groupadd mysql
[root][/] useradd -g mysql mysql
[root][/] passwd mysql
새 암호:
새 암호를 다시 입력하십시오:
passwd: 암호(mysql용)가 성공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mysql이라는 그룹을 추가하고 mysql이라는 사용자를 추가하고 그룹은 mysql로 하고 비밀번호를 바꿔줍시다.
아.....그리고 mysql이라는 계정에 디렉토리가 아마 /home/mysql로 되어있는데요.
home아래에 이상하게 디렉토리가 안만들어지드라구요. 그래서 /user/mysql/ 이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소유자를 mysql로 바꿨습니다.

[root][/]mkdir /user/mysql/
[root][/]chown mysql /user/mysql/
[root][/]cd /user/mysql/
[root][/user/mysql]ls -al
총 4
drwxr-xr-x   2 mysql    root         512  1월 18일  18:37 ./
drwxr-xr-x   4 root     root         512  1월 18일  18:37 ../
[root][/user/mysql]vi /etc/passwd/

mysql:x:101:100::/user/mysql:/bin/csh  #홈디렉토리변경 및 쉘도 변경

받은다음에 서버에 올려서 gunzip으로 풀고, pkgadd로 패키지를 설치합시다. 당근 root계정으로 ^^
[root][/user/mudchobo]gunzip mysql-5.0.45-solaris10-i386.pkg.gz
[root][/user/mudchobo]pkgadd -d mysql-5.0.45-solaris10-i386.pkg

이제 막 설치가 되는데요. 다되었으면 "<mysql>(이)가 성공적으로 설치되었습니다." 라고 떠요.
기본으로 /usr/local/mysql/ 에 설치가 되어있습니다.

설정파일을 만들어야하는데요.  /etc/my.cnf 에다가 만듭니다.
[root][/user/mudchobo]vi /etc/my.cnf
[mysqld]
basedir = /usr/local/mysql
datadir = /user/mysql/data
datadir은 mysql 홈디렉토리아래에 data디렉토리로 설정해두시면 됩니다.
저의 홈디렉토리는 /user/mysql/ 이어서 저렇게 설정한 겁니다.

mysql이 어느경로에서도 실행될 수 있게 PATH를 잡아줍시다.
기존 PATH에 /usr/local/mysql/bin 이눔도 추가해줍시다.

csh에서는 setenv PATH {$PATH}:/usr/local/mysql/bin 이런식으로 합니다.

그다음 가장먼저 실행해야할 mysql_install_db를 실행해야합니다.
[root][/] cd /usr/local/mysql/scripts
[root][/opt/mysql/mysql/scripts]ls
mysql_install_db*           mysql_install_db.in         mysql_install_db.old.1208*  mysql_install_db.old.1731*
[root][/opt/mysql/mysql/scripts] ./mysql_install_db --user=mysql --ldata=/user/mysql/data

라고 해주면 됩니다. 자 이제 mysql을 띄워 봅시다. mysql은 mysql계정으로 들어가서 띄워야합니다.
[mysql][/user/mysql] mysqld &
[1] 1516
[mysql][/user/mysql] 080118 19:07:17  InnoDB: Started; log sequence number 0 43655
080118 19:07:17 [Note] mysqld: ready for connections.
Version: '5.0.45'  socket: '/tmp/mysql.sock'  port: 3306  MySQL Community Server (GPL)
[mysql][/user/mysql]

mysql에 접속해봅시다. root비밀번호가 처음에는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password없이 접속됩니다.
[mysql][/user/mysql] mysql -u root
Welcome to the MySQL monitor.  Commands end with ; or \g.
Your MySQL connection id is 1
Server version: 5.0.45 MySQL Community Server (GPL)
Type 'help;' or '\h' for help. Type '\c' to clear the buffer.
mysql>


mysql 비밀번호 변경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네요(더 있을 수도 있을지도^^)

1. mysqladmin을 이용해서 하는방법
[mysql][/user/mysql] mysqladmin -u root password '비밀번호'


2. mysql에 mysql -u root 로 접속해서 변경하는 방법(이건 차후에 변경할 때도 쓰이겠죠^^)

[mysql][/user/mysql] mysql -u root
Welcome to the MySQL monitor.  Commands end with ; or \g.
Your MySQL connection id is 9
Server version: 5.0.45 MySQL Community Server (GPL)

Type 'help;' or '\h' for help. Type '\c' to clear the buffer.

mysql> SET PASSWORD FOR 'root'@'localhost' = PASSWORD('비밀번호');
Query OK, 0 rows affected (0.01 sec)



이제 사용자를 추가해봅시다.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 TO 'myid'@'%' IDENTIFIED BY 'mypasswd' WITH GRANT OPTION;
Query OK, 0 rows affected (0.02 sec)
mysql>

저기 %로하셔야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한 계정으로 만들어집니다. localhost로하면 local에서 밖에 접속을 못합니다.

mysql을 종료시켜봅시다.
[mysql][/user/mysql] mysqladmin -uroot -p1234 shutdown
080118 19:27:18 [Note] mysqld: Normal shutdown
080118 19:27:18  InnoDB: Starting shutdown...
080118 19:27:20  InnoDB: Shutdown completed; log sequence number 0 43655
080118 19:27:20 [Note] mysqld: Shutdown complete
[mysql][/user/mysql]

아....잘되네요

두리야 다 정리했다 어셔 시도해보거라-_-;
 
Posted by 머드초보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음.....프로그램이 이상하게 아무 이유없이 자꾸 죽어서 왜 그런지 이유를 찾다가 우연히 Too many open files 라는 메시지를 보게 되었습니다.
아...너무 많은 파일들이 열려있다고 하는군요.
한 프로세스가 열 수 있는 파일의 수는 제한되어 있더군요.

ulimit -a 하면
통지(설명자) 256

이라고 나오는데요(영문판에서는 nofiles(descriptors) 이라고 나오더군요)

그 제한수만큼 fopen을 한다던지 소켓을 생성한다든지 해버리고 안 닫아버리면(close나 fclose) 계속 프로세스가 열고 있는 거더군요. 그래서 이거를 안 닫아주면 계속 생깁니다.
그 프로세스가 열고 있는 파일들을 보기 위해서는 이렇게 하면 됩니다.
우선 lsof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합니다. 솔라리스에는 없어서 설치했어요-_-;
이 프로그램이 현재 열고 있는 파일이나 소켓 등을 찾아줍니다.

lsof -p 프로세스ID

하면 목록이 나오는데 그중에 안 닫고 있는게 있으면 그걸 소스에 찾아서 fclose나 close해줍니다.
 
Posted by 머드초보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파치랑 톰캣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아파치는 여기 클릭하시면 설치방법이 있구요.
톰캣은 여기 클릭하시면 설치방법이 나와요!
그리고 나서 진행해봅시다.

우선 tomcat connector를 받아야 돼요. jk라고 하는 놈이네요.
http://tomcat.apache.org/download-connectors.cgi 여기서 커넥터를 받습니다.
Binary로 받으면 좋은데 제 운영체제가 Solaris인데 x86용이 없군요-_-;
컴파일해야하는군요. JK 1.2.25 Source Release tar.gz 를 받읍시다.

gunzip으로 풀고, tar로 압축을 풀어봅시다.

[root][/user/mudchobo/install]gunzip tomcat-connectors-1.2.25-src.tar.gz
[root][/user/mudchobo/install]ls
tomcat-connectors-1.2.25-src.tar
[root][/user/mudchobo/install]tar xvf tomcat-connectors-1.2.25-src.tar


압축을 풀었으면 해당폴더로 이동합시다. 그리고 native폴더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쳐줍시다.

[~~tomcat-connectors-1.2.25-src] cd native
[~~native]./configure --with-apxs=/usr/local/apache2/bin/apxs

아.....뭔가 진행이 되는군요. 저기서 no apxs given 라고 무쟈게 많이 봤는데 그건 아파치를 static으로 설치해서 그럴껍니다-_-; 아파치설치할 때 옵션을 잘줘야합니다. 저것때문에 몇시간 고생을-_-;
근데 마지막에 no apache given이랑 no netscape given이라는게 뜨네요. 잘모르겠어요-_-;
그래도 되는 듯 하네요 ^^

make를 실행해서 컴파일하고, make install해서 해당폴더로 mod_jk.so 파일을 배포합시다!
[~~native] make
  컴파일~~~~~~~~~~
[~~native] make install
  어쩌구저쩌구~~~~~~~


배포가 완료되었으면 이제 셋팅해야합니다.

아파치의 설정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usr/local/apache2/conf/ )
이동 후 workers.properties파일을 생성한 뒤 아래와 같이 적습니다.

[~~native] cd /usr/local/apache2/conf/
[root][/usr/local/apache2/conf] vi workers.properties

workers.tomcat_home=/usr/local/tomcat
workers.java_home=/jdk1.6.0_03
ps=/
worker.list=worker1
worker.worker1.port=8009
worker.worker1.host=localhost
worker.worker1.type=ajp13
worker.worker1.lbfactor=1


:wq
[root][/usr/local/apache2/conf]

httpd.conf파일을 수정하도록 합시다. 맨아래에 다음과 같이 추가합시다.

#
# Mod_jk settings
#
LoadModule jk_module modules/mod_jk.so
JkWorkersFile /usr/local/apache2/conf/workers.properties
JkLogFile /usr/local/apache2/logs/mod_jk.log
JkLogLevel debug
JkLogStampFormat "[%a %b %d %H:%M:%S %Y] "
JkOptions +ForwardKeySize +ForwardURICompat -ForwardDirectories
JkRequestLogFormat "%w %V %T"
JkMount /examples/*.jsp worker1
Alias /examples "/usr/local/tomcat/webapps/examples/"
<Directory "/usr/local/tomcat/webapps/examples/">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Allow from all
</Directory>
<Directory "/usr/local/tomcat/webapps/examples/WEB-INF/">
        AllowOverride None
        deny from all
</Directory>

맨위에 LoadModule에서 jk_module을 쓰겠다는 것 같고,
WorkerFile은 방금 작성한 걸로 쓰겠다는 것같고,
그다음은 다 로그얘기군요.
JkMount는 /examples/에서 jsp요청이 들어오는 것은 다 tomcat에서 처리하겠다는 말입니다.
마지막에 중요한게.....Alias입니다.
원래 http://자기주소/ 이렇게 하면 Document Root인 아파치경로/htdocs인가? 거기를 가리키는 겁니다.
하지만 http://자기주/examples 로 요청이 들어오면 Document Root를 저걸로 바꾸겠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WEB-INF폴더는 보안상 열리면 안돼요. 막아줘야돼요 ^^
저렇게 막아주면 됩니다. 그러면 http://자기주소/examples/ 하면 jsp, servlet샘플이 열릴 것입니다.
jsp외에 것은 다 아파치에서 처리를 하게 되는 것이죠.


 
Posted by 머드초보

댓글을 달아 주세요

 

톰캣 설치는 앉아서 밥먹기 처럼 쉽습니다-_-;
자바로 만들어진 것이라서 자바의 강점인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잘 돌아간다라는 것이--;
즉, 설치가 그냥 압축풀면 끝나요-_-;

주의사항은 JDK가 깔려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솔라리스는 기본적으로 JDK5가 깔려있습니다.
최신버전을 좋아하는 저는 JDK6으로 업그레이드 했습니다-_-;
java -version 쳐서 나오는지 확인하고, 안나오면 설치해야죠 ^^ http://java.sun.com/에서 받으세요 ^^

http://tomcat.apache.org/
여기서 최신버전 6.0.14버전을 받도록 합시다.
Binary Distributions 인 tar.gz로 받도록 합시다.

gunzip으로 압축풀고, tar로 압축풉시다.

[root][/user/mudchobo/install] gunzip apache-tomcat-6.0.14.tar.gz
apache-tomcat-6.0.14.tar
[root][/user/mudchobo/install] tar xvf apache-tomcat-6.0.14.tar


다 됐으면 보기좋게 옮겨 놓읍시다-_-;

[root][/user/mudchobo/install]mv -r apache-tomcat-6.0.14 /usr/local/tomcat/


/usr/local/tomcat/ 폴더로 옮겨놓읍시다. 이제 PATH를 잡아줍시다.(csh기준)

setenv PATH={$PATH}:/usr/local/tomcat/bin

예전에는 CATALINA_HOME도 잡아준거 같은데 안해줘도 되나봐요.
이제 실행해봅시다.
startup.sh를 실행합시다.

[root][/usr/local/tomcat] startup.sh
Using CATALINA_BASE:   /usr/local/tomcat
Using CATALINA_HOME:   /usr/local/tomcat
Using CATALINA_TMPDIR: /usr/local/tomcat/temp
Using JRE_HOME:       /jdk1.6.0_03
[root][/usr/local/tomcat]


웹에서 확인해봅시다.
http://ip주소:8080/ 해서 고양이가 나와야 돼요 ^^

 
Posted by 머드초보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저도 잘은 모르지만, DSO, static방식으로 설치를 할 수 있답니다.
그래서 그냥 sunfreeware에서 컴파일된 파일로 설치하면 static방식인 모양인가 봅니다.
그러면 나중에 tomcat이랑 연동하려고 하면 안되더라구요.
우선 연동하는 건 좀 더 삽질해보고 포스팅해보겠습니다.(하다가 좀 안되는 부분이있어서 ^^)

우선 아파치를 받습니다!
http://httpd.apache.org/ 최신버전이 2.2.6이군요. 받아봅시다.
Unix Source: httpd-2.2.6.tar.gz 요거를 받읍시다.

설치시에 ROOT계정으로 해야해요! gcc도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
서버에 올리고 gunzip으로 풀고, tar로 풉시다.

[root][/user/mudchobo/install]gunzip httpd-2.2.6.tar.gz
[root][/user/mudchobo/install]ls
httpd-2.2.6.tar
[root][/user/mudchobo/install]tart xvf httpd-2.2.6.tar


해당폴더로 이동후에 configure를 실행하는데 DSO방식으로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옵션을 줍시다.

[root][/user/mudchobo/install]cd httpd-2.2.6
[root][/user/mudchobo/install/httpd-2.2.6]
  ./configure --enable-so --enable-mods-shared=most


머라고 막 checking하면서 뭔가 진행이됩니다!-_-; 다되면.....

[root][/user/mudchobo/install/httpd-2.2.6]make


오 뭐라하면서 뭔가 떠요!! 디게 오래 걸리네요-_-;

[root][/user/mudchobo/install/httpd-2.2.6]make install

이렇게 하면 디렉토리에 배포하는 듯해요!-_-;


대충 옵션을 보니까 so를 가능하게하고, modsshared를 mostt하겠다는 말같군요-_-;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저렇게 하면 DSO방식으로 설치하는 거라네요-_-;
configure를 마치면 make를 실행해서 컴파일하고, make install을 해서 배포합니다.
디폴트 폴더는 /usr/local/apache2/ 인데요. 변경할 수도 있어요.
처음에 ./configure할 때 --prefix=/원하는디렉토리명/ 하면 돼요.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해봐야겠죠.
우선 path부터 잡아서 어느곳에서든지 실행할 수 있도록 합시다.
저는 csh를 써서(회사에서 이거를 사용해서^^) csh기준으로.....-_-;
setenv PATH {$PATH}:/usr/local/apache2/bin/ 을 추가합시다 ^^

apachectl start 해버리면 뭔가 워링이 뜨는군요. 글쎄요. 저는 도메인이 없어서-_-; 아이피주소를 넣었어요-_-;
다시 apachectl stop하시고, httpd.conf파일을 수정합시다. ServerName을 찾아 주석제거하고,
[code]vi /usr/local/apache2/conf/httpd.conf
ServerName 192.168.0.4
[/code]
이런식으로 ^^ 도메인네임있으면 도메인네임 넣어야 할 껍니다 ^^

apachectl start하고 ps -ef | grep httpd 하면 프로세스가 떠있으면 된 겁니다.
웹에서도 확인해봅시다.

It works! 라고 뜨면 된거에요-_-;

 
Posted by 머드초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