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mooth는 jar를 exe파일로 생성해줍니다. JAVA가 없을시에는 경고메시지와 함께 홈페이지로 이동 시켜주는 기능도 해주지요 ^^

우선 jsmooth를 설치해봅시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howfiles.php?group_id=86730
최신버전은 0.9.9-7버전이군요. 다운로드해서 설치를 합니다.

그러면 우선 간단하게 넷빈즈를 이용해서 java Swing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봅시다.
Netbeans 6.0을 실행하고, File -> New Project에서 Java -> Java Desktop Application을 선택합니다.
Project Name은 Hello Swing을 하고, 아래에 Basic Application선택하고 Finish를 클릭합시다.

GUI화면이 나오는데 오른쪽에 Label을 드래그해서 프레임에 넣어봅시다.
그리고 Label에 대고 오른쪽버튼을 클릭하고 Edit Text를 클릭해서 "Hello Swing" 이라고 써봅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11을 눌러서 빌드하고(JAR로 만들어줍니다) F6을 눌러서 실행해봅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잘나오는군요. 이제 해당프로젝트경로/dist/ 라는 폴더에는 jar파일과 실행에 필요한 jar파일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jsmooth를 통해 exe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jsmooth를 실행합니다.
왼쪽메뉴에서 Skeleton을 선택합니다. 윈도우용 프로그램이므로 Windowed Wrapper를 선택합니다.

Executable을 선택합니다.
Executable Binary는 만들어질 실행파일(경로포함)을 써주면 되고, Executable Icon은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뭘로 할 것인가를 정하는 겁니다. Current Directory는 설정안해줘두 돼요. 여기서 주의사항은 Executable Binary는 꼭 경로/실행이름.exe 형식으로 exe형식으로 지정해줘야합니다.

Application을 선택합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군요.
Embbeded jar settings에서 Embedded jar에서 Use an embedded jar체크 후에 우리가 만든 HelloSwing.jar파일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Classpath에는 이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 외부jar가 쓰였으면 추가를 하는 것인데 dist폴더에 보면 lib폴더가 있고 2개의 jar파일이 있습니다. 이 두개도 포함이 되어야합니다.
+버튼을 클릭하고 2개를 추가해줍시다.
그리고나서 Main Class를 지정해줘야합니다. helloswing.HelloSwingApp가 아마 메인클래스 일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다음 JVM Selection을 선택합니다.
Java version setting을 해줘야하는데 최소한 필요한 자바버전을 써주면 되고, 최대지원하는 자바버전을 써주면 됩니다. 만약 나의 애플리케이션이 1.4에서도 돌아간다면 1.4라고 쓰면됩니다.
저는 1.6에서 컴파일했으니 1.6이라고 쓰겠습니다. 컴에 1.6이 없으면 java홈페이지로 연결해서 받도록 됩니다.
나머지는 그냥 냅둬도 됩니다.

그러면 이제 Project메뉴 -> Compile 하면 exe파일이 생성됩니다.

실행해보면 똑같은 화면이 나올껍니다 ^^

 
Posted by 머드초보
,
 
이열~ 정말 대단하군요.
에뮬크래쉬에 갔다가 2.6a가 나왔다길래 한번 받아서 돌려봤더니!
놀라운 속도가 나오는군요. 3D가 더욱 부드러워졌습니다 ^^

우선 공식홈페이지입니다.
http://nocash.emubase.de/gba.htm

No$gba v2.6a faster/better 3d shadow/edge/polyid/capture, backup detect, and more (***)

보면 3D가 더욱 빨라지고 나아졌다고 말하고 있군요 ^^
시험삼아 리듬히어로를 해봤는데 더욱 부드러워졌어요.
예전에는 똥그라미가 많이 나오면 살짝 부드럽지 않은 화면을 보여주곤 했는데 아무리 많은 노트가 나와도 부드럽네요 ^^ 하지만 리듬히어로는....마우스로 너무 힘들어요 ㅠㅠ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머드초보
,
 

최근에 즐겨보고 있는 애니메이션입니다.
전형적인 1:N의 관계를 가지는.....-_-;(데이터베이스의 1:N같은겁니다--;)
코믹 애니메이션이구요 ^^
3화서부터 파격적인 서비스컷이 마구 들어가네요-_-;

OP는 매우 평범하지만, ED는 19세이상만 봐야하는 특이하게 제작이 되어있네요 ^^
감상해봅시다 ^^


오프닝입니다.




엔딩입니다.

 
Posted by 머드초보
,
 
드디어 오픈을 하는건가요?^^

항상 언제오픈하냐 라고 친구에게 물어왔는데 드디어 하는군요.

모르는거 있으면 항상 그 친구에게 물어보곤 했는데 ^^

항상 물어보면 우선 갈굼먹고 시작합니다-_-; 그래도 알려주려고 노력을 해줘서 너무 고맙더라구요^^

아이군 너무 고마웠어!-_-; 어쨌든 오픈하게 되는 걸 진심으로 축하하네그려 ^^

그리고 지돌스타님의 블로그랑 flexdoc이 참 도움이 되었는데 ^^ 너무 감사해요 ^^ 덕분에 플렉스를 많이 배웠습니다. 진심으로 축하드려요 ^^ (이글을 보시려나-_-)

우선 "서비스자세히보기"를 클릭하니까 자기만의 공간을 가지며 다른 사람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그런 것 같습니다. 인생의 타임라인을 작성하는 것도 나오네요-_-;
별과 별끼리 뭔가 맺고 별 스킨도 바꾸고.....음.......

어쨌든 뚜껑을 열어봐야 알 것 같네요... ^^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머드초보
,
 
아...레몬펜과 똑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쿠션이군요.

이제 오픈베타를 시작한 모양입니다.

많은 분들이 레몬펜을 사용하셨으면 하네요. 레몬펜을 제가 사용하면서 느낀점은 우선 쉬운댓글달기로 인해 더욱 댓글달기를 자극(?)합니다 ^^ 댓글달기가 매우 쉬워요 ^^

게다가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을 듯 해요. 레몬펜을 그으면 서로의 아이디를 알게 되고 그 아이디를 타고 여기저기 넘어갈 수 있는 대규모 커뮤니티가 형성될 듯 하네요.

얼마나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느냐가 중요하겠네요. 많은 블로거들이 달았으면 좋겠네요.
레몬펜이 달려있으면 원하는 위치에 댓글을 달 수 있으니까요 ^^
그리고 블로그에 달면 살짝 느려집니다 ^^ 속도개선은 차근차근 ^^

PS. 예상은 했습니다. 레몬펜모양의 쿠션이라는걸 ^^ 정말 똑같이 생긴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쿠션 이쁘네^^

 
Posted by 머드초보
,